제도주의 2

국제정치이론 정리 - 번외. 사회과학의 비교 제도주의 Comparative Institutionalism

사실 제도주의에 대해 글을 쓰려던게, 공부를 하다보니 역사적 제도주의(Historical Institutionalism),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사회적 제도주의(Sociological Institutionalism)에 대해 자주 접하게 되어 이 개념이 '신제도주의'에 해당하는 줄 알고 정리하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이 역사적, 합리적선택, 사회적 제도주의는 국제정치이론이라기보다는, 정치학 전반, 특히 비교정치(comparative politics)나 공공정책, 조직이론 등에서 사용되는 사회과학 일반의 제도주의 접근 방식이라고 한다. 따라서 국제정치에서 말하는 고전적 제도주의나 신제도주의(Neoliberal Institutionalism)와는 학..

공부 2025.04.02

국제정치이론 정리 - 7. 제도주의 Liberal Institutionalism

국제정치는 오랫동안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냉혹한 무대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무정부(anarchy)라는 구조 아래, 각 국가는 생존과 이익을 스스로 책임지는 주체로 여겨져 왔고, 이를 가장 설득력 있게 설명해온 것이 바로 현실주의(realism)이다. 그러나 이러한 무정부적 질서 속에서도 국제기구, 규범, 제도가 협력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는 질문에서 출발한 또 다른 이론이 있다. 바로 제도주의(Institutionalism, 制度主义)이다. 제도주의는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의 전통 안에서, 특히 국가 간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의 역할에 주목하며 발전해온 접근이다. 이는 힘과 갈등을 강조하는 현실주의의 비관론에 대한 반론이자, 자유주의의 이론적 확장으로 볼 수 있다. 자유주의는 인간의 이성과 진보..

공부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