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이슈 17

[2025년 4월 9일 뉴스] 중국, 미국의 '104% 관세폭탄'에 정면 대응…단순한 보복이 아닌 전략적 반격

2025년 4월, 미중 무역전쟁이 다시 한 번 격랑 속으로 진입했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국가 긴급사태"를 선언하며, 10%의 '기준관세'와 일부 국가에 대한 고율의 '맞춤형 관세'를 강행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즉각 강력한 반격에 나섰다. 미국의 이른바 '맞대응 관세'(对等关税)라는 이름의 단독 행위는 결국 또 한 번 세계무역질서를 뒤흔들고 있다.*对等을 '보복'이라고 칭하기도 하지만, 본문에서는 报复性关税(보복관세)가 등장하므로 '맞대응'이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맞대응”이라는 이름의 일방적 압박미국은 4월 9일부터 중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대해 ‘기준관세’ 10%를 적용하고, 특정 국가에는 최대 104%까지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표면상 ‘공정성’과 ‘주권 보호’를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동아시아이슈 2025.04.09

[2025년 4월 7일 뉴스] 2025년 시(市) 정협(政協) 사무처의 당 건설 업무 방향 – 중국의 공공조직이 어떻게 ‘정치 중심 기관’으로 기능하는가

2025년은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2022년 10월 개최)의 정신을 전면적으로 관철·실행해야 하는 중요한 해이다.이러한 흐름 속에서 중국 각지의 정부 및 당 조직은 ‘당의 전면적 지도’ 강화와 고품질 발전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中国人民政治协商会议, 약칭 ‘정협’·政协) 사무국 역시 2025년도 당건(党建) 업무계획을 발표하였다.정협은 중국의 일당 지배 체제 아래에서 공산당의 통일전선 전략을 제도화한 정치 협의 기구로, 입법권은 없지만 다양한 정당, 사회단체, 민간 인사들이 참여하여 정책 제안, 협의, 여론 수렴 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이번에 발표된 2025년 정협 사무국의 당건 계획은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지도 이념..

동아시아이슈 2025.04.07

[2025년 4월 3일 뉴스] 트럼프의 국가 비상사태 선언, '보복 관세' 에 대한 중국 반응

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한 번 세계 질서에 충격을 던졌다. 백악관은 ‘국가 긴급사태’를 선포하고, 모든 국가에 10%의 기준 관세(基准关税)를 부과하며, 특히 무역수지 적자 국가에 대해 추가적인 ‘보복, 맞대응 관세’(对等关税, retaliatory tariff)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그 효과는 4월 5일과 9일에 각각 발효될 예정이다.트럼프는 이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을 부활시키고, 미국 경제와 안보를 강화하겠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국은 이를 일방주의(单边主义)와 경제패권주의(经济霸权主义)의 재등장으로 해석하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중국의 입장: "할 말 없다"는 절제된 단호함과거 트럼프는 대통령에 당선된 직후, 100일 내 방중을 공언하며 미중 관계에 새로운 ..

동아시아이슈 2025.04.03

[2025년 3월 26일 뉴스] 중국 보아오 아시아 포럼 2025 개최, 아시아의 길을 묻다: 통합과 녹색 성장, 그리고 자유무역의 미래 博鳌亚洲论坛2025

2025년 3월 25일, 보아오 아시아 포럼(博鳌亚洲论坛, Boao Forum for Asia)이 중국 하이난성(海南省) 보아오에서 개막했다. 이번 연례회의는 "불확실한 시대 속 공동의 미래를 향해(在不确定的世界中共创未来)"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회의 현장에는 아시아 각국의 전·현직 정상급 인사를 포함해 약 300여 명의 고위급 인사와 국제기구 대표, 기업인, 학자들이 대거 참석했다.아시아 경제 통합: RCEP(区域全面经济伙伴关系协定)의 힘아시아 경제 보고서는 아시아 각국이 빠르게 글로벌 공급망과 경제 통합 구조에 편입되고 있으며, 특히 RCEP(区域全面经济伙伴关系协定,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이 그 중심축 역할을 한다고 분석한다. 중국과 아세안(东盟)의 무역 및 투자 흐름이 증가하면서, 역내 국가들은 ..

동아시아이슈 2025.03.26

[2025년 3월 25일 뉴스] 2025 중국발전고위급포럼: 글로벌 경제 회복의 ‘중국식 해법’은?

2025년 3월 23~24일, 중국 베이징에서는 올해 전국 양회(兩會) 이후 첫 국가급 국제 포럼인 중국발전고위급포럼(中国发展高层论坛) 연례회의가 성대히 개최되었다. 올해 주제는 “전면적으로 발전 동력을 해방하고, 글로벌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공동 촉진하자(全面释放发展动能,共促全球经济稳定增长)”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중국이 내놓은 대응 전략이 주목받았다.‘불안정한 세계’ 속 중국의 안정성 강조중국 외교부는 이번 포럼에 750여 명의 외국 대표가 참가했으며, 미국·유럽 주요 기업 고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 점에 주목했다. 미국과의 무역 마찰, 외자 규제 등의 긴장이 지속되는 가운데에도, 애플 CEO 팀 쿡, 블랙스톤 회장 스티븐 슈워츠먼, 바이엘, 벤츠, BMW, 화이자 등 세계적 ..

동아시아이슈 2025.03.25

[2025년 3월 24일 뉴스] A주 vs B주: 중국 주식시장, 어디에 투자할까?

2025년 3월 24일, 월요일 아침 A주 시장을 열자마자 많은 투자자들이 등골이 서늘해졌다고 말한다. 무려 30개 종목이 장 초반부터 하한가를 기록했고, 4000개 이상의 종목이 줄줄이 하락했다. 반면 지수는 0.3% 상승했다는 뉴스가 흘러나왔지만, ‘지수 방어’ 이면의 개별 종목 참사는 시장의 불안을 더욱 키우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은 고점에 있던 기술주들의 급락과 전통 업종(석탄, 은행 등)의 강세 전환이다. 시장은 '성장주 → 가치주'로의 회귀 신호를 보내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업종 교체가 아니라 투자심리 약화를 의미한다.거래량 급감, 기관 자금의 뚜렷한 유입 부재 등도 반등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이달 말 A50 선물 만기, 4월 실적 시즌 등은 추가 하방 압력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동아시아이슈 2025.03.24

[2025년 3월 20일 뉴스] 리카싱(李嘉诚)의 파나마 항구 매각: 단순한 사업 결정인가? 국가 이익에 대한 배반인가?

최근 홍콩의 거물 기업가 리카싱(李嘉诚)이 이끄는 장강허치(长江和记, CK Hutchison) 그룹이 미국의 자산관리 대기업 베어링(BlackRock)을 중심으로 한 재무 컨소시엄에 전 세계 23개국에 걸친 43개 항구를 매각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매각 금액은 약 1657억 위안(약 228억 달러)에 달하며, 특히 중국과 글로벌 무역에 중요한 파나마 운하 두 항구(발보아·크리스트발 포함)가 포함되어 있다.이러한 대규모 매각은 일반적인 기업의 구조조정으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매각 대상과 매수자를 고려할 때, 단순한 상업적 거래가 아니라 지정학적 요인과 미중 전략 경쟁의 일환으로도 해석되고 있다. 중국 정부와 홍콩 정부는 이 사건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으며, 중국 외교부는 이 사안을 경제적 강압과 패..

동아시아이슈 2025.03.20

[2025년 3월 18일 뉴스] 중국의 소비 촉진 대책: 7대 행동 계획으로 내수 활성화 총력 提振消费专项行动方案

중국 정부가 소비 회복과 내수 확대를 위한 을 발표했다. 이 방안은 7대 주요 행동과 30개 세부 정책으로 구성되며, 가계 소득 증가, 소비 여력 확대, 소비 환경 개선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번 대책은 "돈이 없어 소비하지 못하는 문제, 소비하고 싶지 않은 문제, 소비할 곳이 없는 문제, 소비하기 두려운 문제(没钱消费问题 不愿消费问题 无处消费问题 不敢消费问题)" 등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들이 포함되었는지 살펴보자.1. 가계 소득 증대 및 소비 여력 확대가계의 소비 능력을 높이기 위해 임금, 재산, 농민 소득 증가를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이 시행된다.임금성 소득 증가  - 중소기업과 지방 노동시장 지원을 확대하여 고용을 촉진  - 실업보험을 활용한 고용 안정 정책 지속 ..

동아시아이슈 2025.03.19

[2025년 3월 18일 뉴스] G7의 중국 견제? 2025 G7 정상회담 공동성명 중 ‘삼불허 三不许’ 내용과 중국의 대응

최근 캐나다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중국을 겨냥한 ‘삼불허(三不許)’ 조항이 포함된 공동 성명이 발표되었다. 이 성명은 중국의 핵심 이익과 관련된 세 가지 사항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은 이에 대해 강력히 반발했다. 과연 G7이 원하는 대로 중국이 순응할 것인가? 그리고 중국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실제로 G7 공동성명을 보면 중국을 향한 "3개 불허 리스트" 식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중국 뉴스에서는 삼불허라고 표현하였다. 전체적인 내용 중 세 개의 강력한 제재를 언급했다는 이야기.)1. G7의 ‘삼불허’ 조항: 중국을 향한 전략적 압박이번 G7 공동 성명의 핵심은 다음 세 가지 조항으로 요약된다.러시아 지원 금지G7은 중국이 러시아에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제..

동아시아이슈 2025.03.18

[2025년 3월 17일 뉴스] 대만 총통 라이칭더(赖清德), 중국 대응 17개 조치 발표 反对大陆17项措施

대만 총통(대통령) 라이칭더(赖清德)가 최근 중국의 대만 통일 전략에 대한 강경 대응 조치를 발표했다. 그는 3월 13일 국가안전고위급 회의를 소집하고, 중국이 대만에 대한 통합 전략을 강화하면서 대만을 "경외 적대 세력"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만의 국가 안보 및 통일전선(統戰)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17개 조치를 발표했다.이번 조치는 중국의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친 대만 내 영향력을 차단하고, 독립된 대만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된다.배경: 중국의 대만 통합 전략과 라이칭더의 반발라이칭더는 중국이 2005년 제정한 ‘반국가분열법(反国家分裂法)’을 무력 통일의 법적 근거로 삼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독립세력 처벌 22조'를 발표하는 등 대만 통합 압박을 ..

동아시아이슈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