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9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결정이 글로벌 시장에 예상 밖의 반등을 일으켰다. 원래 4월 9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던 고율의 ‘맞대응 관세(对等关税)’가 일부 국가에 대해 90일간 유예되며, 나스닥, 다우존스, S&P 등 미국 3대 증시는 하루 만에 6% 넘게 폭등했다. 엔비디아, 테슬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주요 기술주는 두 자릿수 급등을 기록했고, 대형 ETF와 원자재 시장도 동반 반등했다. 시장은 일시적 안도감에 휩싸였고, 일각에서는 “무역전쟁이 진정 국면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기대도 나왔다.
그러나 이 같은 기대를 중국은 냉정하게 바라보았다. 중국 정부와 주요 언론은 이번 유예 조치를 ‘미국 내 정치·경제적 압력에 따른 일시적 유화 제스처’로 분석했다. 실질적인 정책 전환이나 관계 정상화의 시그널이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중국 측은 이번 유예 조치가 “시장 불안과 국내 여론에 밀려 내놓은 즉흥적 카드”일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1. “한 발 물러섰지만, 여전히 싸움 중이다”
중국은 트럼프의 유예 조치에 공식적인 환영 성명도 내지 않았다. 외교부, 상무부는 “정상적인 무역 질서를 회복할 실질적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는 원칙론만 반복했다. 중국 관영 언론들은 “이번 결정은 내부 균열의 증거이며, 미국의 전략적 일관성이 결여됐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특히 《환구시보》는 사설에서 “미국은 무역정책을 외교와 금융시장 안정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이렇게 신중한 이유는 명확하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수개월간 ‘대등(맞대응, 보복) 관세’라는 이름 아래 모든 무역 파트너에게 10% 이상의 기준 관세를 적용했고, 중국에는 이보다 훨씬 높은 54%의 관세를 적용하고 있었다. 여기에 추가로 50%를 더해 104%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었고, 실제로 일부 품목에는 이미 적용되었다. 이처럼 신뢰를 깬 상황에서 단기적 유예 조치 하나만으로 양국 간 긴장을 풀기엔 역부족이라는 게 중국 측 판단이다.
2. 중국의 대응: 강경하지만 차분하게
중국은 겉으로는 단호함을 유지하면서도, 속으로는 전략적 유연성을 확보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의 ‘맞대응 관세 34%’ 발표다. 이 조치는 미국의 일방적 관세 부과에 대응하는 것이며, ‘중국은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특히 이번 맞대응은 2018년 무역전쟁 초기보다 더 정밀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설계됐다.
예를 들어, 중국은 미국 농산물·에너지에 대한 일률적 제재 대신, 희토류·반도체 원자재·헬스케어 소재 등 미국이 전략적으로 의존하는 분야를 겨냥해 수출을 제한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른바 ‘킬 스위치 전략’이다. 이러한 선택은 미국의 첨단 제조업, 전기차 산업, 항공·우주 기술까지 타격할 수 있는 파급력을 갖는다.
또한 중국은 관세 맞대응에만 의존하지 않고, ‘이중 순환(쌍순환)’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내수 기반 확대, 아세안·중동·라틴아메리카 등 신흥 시장으로의 수출 다변화, 디지털 무역 인프라 확대를 통해 미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줄이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중국과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회원국 간의 무역 비중은 전년 대비 12% 이상 상승했다.
3. “시장은 흔들렸지만, 전략은 흔들리지 않는다”
시장 반응은 당연히 민감하다. 트럼프의 유예 조치 직후 중국 증시도 반등세를 탔다. 하지만 중국은 ‘시장이 진정됐다고 해서, 상황이 끝난 것은 아니다’라는 시그널을 명확히 내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은 즉각 중앙투자기관(中央汇金公司)과 함께 증시 안정화를 위한 대규모 ETF 매입에 나섰고, 국유 기업들도 자사주 매입 및 시장 유동성 확보에 동참했다. 여기에 보험사의 주식 투자 비중 상한을 확대하는 등 ‘시장 안정+유동성 확보’의 투 트랙 전략이 동원됐다.
이는 단순한 단기 방어가 아니다. 중국은 2018년 미중 무역전쟁 이후, “결국 위기를 가장 잘 버티는 쪽이 이긴다”는 교훈을 얻었다. 따라서 이번에도 전략적으로 '버티기'와 '내실 다지기'에 집중하며, 트럼프의 다음 수를 기다리는 중이다. 실제로 “미국은 자해적 관세정책을 통해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를 초래하고 있다”는 분석이 중국 언론과 학계에서 계속 나오고 있다.
4. "겉으론 관세 유예, 속으론 신뢰 붕괴"
결론적으로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를 '위기의 일시 정지'로 해석하고 있다. 이는 결코 신뢰 회복의 조치가 아니며, 오히려 미국의 불안정성과 일방주의의 표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국은 단호하면서도 정교한 방식으로 대응 전략을 다듬고 있으며, 필요 시 미국의 급소를 겨냥한 반격도 준비된 상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다. 미국이 관세 유예를 선언했다고 해서 신뢰가 복원되는 것은 아니며, 양국이 마주한 구조적 갈등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중국은 이제 더 이상 미국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인 성장 축을 구축하며 국제 경제 질서를 다극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트럼프의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는 있어도, 그로 인해 무너진 신뢰와 협력의 틀은 쉽게 복원되지 않는다. 중국의 대응은 단순한 맞불이 아니라, '다음 게임'을 준비하는 포석처럼 보인다. 그리고 그 게임은, 더 이상 미국 중심이 아닌 다자주의 질서를 향해 흐르고 있다.
이처럼 중국은 외형상 격렬한 충돌을 피하는 듯하지만, 내면적으로는 강한 자율성과 전략적 독립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 관세 전쟁의 향방은 불투명하지만, 적어도 지금 이 순간만큼은, '급한 쪽은 미국'이라는 인식이 중국 안팎에서 공감대를 얻고 있다.
본 포스팅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
https://baijiahao.baidu.com/s?id=1828747250892630507&wfr=spider&for=pc
美国滥施关税自食恶果 经济衰退阴云笼罩
美国总统特朗普4月2日签署行政令,宣布对所有贸易伙伴征收所谓“对等关税”,此举引发国内外强烈反对。多家国际金融机构警告,此举将加剧通胀、拖累经济增长,甚至可能触发经济衰退。
baijiahao.baidu.com
https://baijiahao.baidu.com/s?id=1828971732435785332&wfr=spider&for=pc
超级大反转!七巨头市值暴涨超1万亿美元,但预言V型反弹为时过早
周三,受美国总统特朗普对多国暂缓实行高额关税消息影响,北美午盘交易时段开始全球资产掀起上涨狂潮。美股拉升一直持续到收盘,大宗商品市场迎来修复反弹。华尔街继续关注有关后续贸
baijiahao.baid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