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1

[2025년 4월 9일 뉴스] 중국, 미국의 '104% 관세폭탄'에 정면 대응…단순한 보복이 아닌 전략적 반격

2025년 4월, 미중 무역전쟁이 다시 한 번 격랑 속으로 진입했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국가 긴급사태"를 선언하며, 10%의 '기준관세'와 일부 국가에 대한 고율의 '맞춤형 관세'를 강행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즉각 강력한 반격에 나섰다. 미국의 이른바 '맞대응 관세'(对等关税)라는 이름의 단독 행위는 결국 또 한 번 세계무역질서를 뒤흔들고 있다.*对等을 '보복'이라고 칭하기도 하지만, 본문에서는 报复性关税(보복관세)가 등장하므로 '맞대응'이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맞대응”이라는 이름의 일방적 압박미국은 4월 9일부터 중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대해 ‘기준관세’ 10%를 적용하고, 특정 국가에는 최대 104%까지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표면상 ‘공정성’과 ‘주권 보호’를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2025년 4월 7일 뉴스] 2025년 시(市) 정협(政協) 사무처의 당 건설 업무 방향 – 중국의 공공조직이 어떻게 ‘정치 중심 기관’으로 기능하는가

2025년은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2022년 10월 개최)의 정신을 전면적으로 관철·실행해야 하는 중요한 해이다.이러한 흐름 속에서 중국 각지의 정부 및 당 조직은 ‘당의 전면적 지도’ 강화와 고품질 발전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中国人民政治协商会议, 약칭 ‘정협’·政协) 사무국 역시 2025년도 당건(党建) 업무계획을 발표하였다.정협은 중국의 일당 지배 체제 아래에서 공산당의 통일전선 전략을 제도화한 정치 협의 기구로, 입법권은 없지만 다양한 정당, 사회단체, 민간 인사들이 참여하여 정책 제안, 협의, 여론 수렴 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이번에 발표된 2025년 정협 사무국의 당건 계획은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지도 이념..

동아시아이슈 2025.04.07

[2025년 4월 3일 뉴스] 트럼프의 국가 비상사태 선언, '보복 관세' 에 대한 중국 반응

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한 번 세계 질서에 충격을 던졌다. 백악관은 ‘국가 긴급사태’를 선포하고, 모든 국가에 10%의 기준 관세(基准关税)를 부과하며, 특히 무역수지 적자 국가에 대해 추가적인 ‘보복, 맞대응 관세’(对等关税, retaliatory tariff)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그 효과는 4월 5일과 9일에 각각 발효될 예정이다.트럼프는 이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을 부활시키고, 미국 경제와 안보를 강화하겠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국은 이를 일방주의(单边主义)와 경제패권주의(经济霸权主义)의 재등장으로 해석하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중국의 입장: "할 말 없다"는 절제된 단호함과거 트럼프는 대통령에 당선된 직후, 100일 내 방중을 공언하며 미중 관계에 새로운 ..

동아시아이슈 2025.04.03

국제정치이론 정리 - 번외. 사회과학의 비교 제도주의 Comparative Institutionalism

사실 제도주의에 대해 글을 쓰려던게, 공부를 하다보니 역사적 제도주의(Historical Institutionalism),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사회적 제도주의(Sociological Institutionalism)에 대해 자주 접하게 되어 이 개념이 '신제도주의'에 해당하는 줄 알고 정리하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이 역사적, 합리적선택, 사회적 제도주의는 국제정치이론이라기보다는, 정치학 전반, 특히 비교정치(comparative politics)나 공공정책, 조직이론 등에서 사용되는 사회과학 일반의 제도주의 접근 방식이라고 한다. 따라서 국제정치에서 말하는 고전적 제도주의나 신제도주의(Neoliberal Institutionalism)와는 학..

공부 2025.04.02

국제정치이론 정리 - 8. 신제도주의 Neoliberal Institutionalism

국제정치에서 국가 간 협력은 어떻게 가능한가? 고전적 제도주의는 국제기구와 규범이 그러한 협력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현실주의자들은 이러한 낙관론을 비현실적이라며 비판했고, 냉전 시기 미소 대립의 현실은 이들에게 힘을 실어주었다.그렇다면 제도주의는 사라졌을까? 그렇지 않다. 신제도주의(Neoliberal Institutionalism)는 현실주의의 냉정한 분석을 수용하면서도, 여전히 국제제도의 협력 가능성에 주목하는 방식으로 진화하였다. 신제도주의는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의 중간 지점에 서 있으며, 고전적 제도주의가 제시한 이상주의적 접근을 보다 현실적이고 이론적으로 정교화한 형태이다.  1. 신제도주의의 등장 배경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 미국을 중심으로 국제질서가 복잡하게..

공부 2025.04.01

국제정치이론 정리 - 7. 제도주의 Liberal Institutionalism

국제정치는 오랫동안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냉혹한 무대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무정부(anarchy)라는 구조 아래, 각 국가는 생존과 이익을 스스로 책임지는 주체로 여겨져 왔고, 이를 가장 설득력 있게 설명해온 것이 바로 현실주의(realism)이다. 그러나 이러한 무정부적 질서 속에서도 국제기구, 규범, 제도가 협력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는 질문에서 출발한 또 다른 이론이 있다. 바로 제도주의(Institutionalism, 制度主义)이다. 제도주의는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의 전통 안에서, 특히 국가 간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의 역할에 주목하며 발전해온 접근이다. 이는 힘과 갈등을 강조하는 현실주의의 비관론에 대한 반론이자, 자유주의의 이론적 확장으로 볼 수 있다. 자유주의는 인간의 이성과 진보..

공부 2025.03.31

[내돈내산 리뷰] 편의점 & 스타벅스 신상 후기 - 키친205 딸기치즈케이크, 하림 맛닭가슴살 오징어먹물, 마라맛, GS 흑백요리사 임태훈 셰프의 마라샹궈, CU 연세우유 먹산 생크림빵

사진첩에 묵혀놓는 일상 사진들이 아까워서 남겨보는 솔직한 리뷰대학원생의 아주 냉철한(?) 시각으로 작성해 보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간단히 남기는 용이기 때문에 음슴체로 쓰겠습니다시작은 스타벅스 리유저블 컵 우연히 받은 사진으로...요즘 동선과 가격을 고려하여 스타벅스를 갈 일이 잘 없는데이 날 따라 초코품은 부생카가 너무 먹어보고 싶어서 들렀다가 완전 운 좋게 겟>_그렇다 할 컵 없이 사는 자취생이라 아주 만족하며 사용 중임ㅋㅋ스타벅스 - 키친205 치즈케이크 ★★★☆ 무려 만원이 넘는 조그마한 케이크근데 이제 유명세와 가격 대비 그렇게 맛있는지는 모르겠던?바스크치즈케이크 치고 많이 달지 않았고 꾸덕한 편이었음키친205 크림을 그대로 가져왔다고 극찬하는 사람이 많던데,요 정도 맛이라면 키친205 따로 트라..

대학원 생활 2025.03.27

[2025년 3월 26일 뉴스] 중국 보아오 아시아 포럼 2025 개최, 아시아의 길을 묻다: 통합과 녹색 성장, 그리고 자유무역의 미래 博鳌亚洲论坛2025

2025년 3월 25일, 보아오 아시아 포럼(博鳌亚洲论坛, Boao Forum for Asia)이 중국 하이난성(海南省) 보아오에서 개막했다. 이번 연례회의는 "불확실한 시대 속 공동의 미래를 향해(在不确定的世界中共创未来)"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회의 현장에는 아시아 각국의 전·현직 정상급 인사를 포함해 약 300여 명의 고위급 인사와 국제기구 대표, 기업인, 학자들이 대거 참석했다.아시아 경제 통합: RCEP(区域全面经济伙伴关系协定)의 힘아시아 경제 보고서는 아시아 각국이 빠르게 글로벌 공급망과 경제 통합 구조에 편입되고 있으며, 특히 RCEP(区域全面经济伙伴关系协定,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이 그 중심축 역할을 한다고 분석한다. 중국과 아세안(东盟)의 무역 및 투자 흐름이 증가하면서, 역내 국가들은 ..

동아시아이슈 2025.03.26

[풀브라이트] 2026-2027년도 한미교육위원단 미국 대학원 장학 프로그램 선발(4/1~5/20)

2026-2027년도 풀브라이트 미국 대학원 유학 장학 프로그램 선발 안내 한미교육위원단에서 한국과 미국 정부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풀브라이트 미국 대학원 유학 장학 프로그램]의 선발 공고를 안내합니다.한미 양국은 정부 공동 재정지원을 통한 풀브라이트 (Fulbright)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양국 간 교육교류 활성화 및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있습니다. 풀브라이트 장학금은 79년 전통의 세계 최고 권위의 국비 장학생 선발 프로그램이며, 한미교육위원단 (Korean-American Educational Commission)은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비영리 교육기관입니다. 올해 선발하는 [풀브라이트 미국 대학원 유학 장학 프로그램]의 선발 공고를 다음과 같이 안내하니 관심있는 지원자의 많은 참여 바랍니..

[풀브라이트] 2026-2027년도 미국 연구비 지원 포스트닥 장학 프로그램 선발 (8/11~8/22)

2026-2027년도 풀브라이트 미국 연구비 지원 포스트닥 장학 프로그램 선발 안내 한미교육위원단에서 한국과 미국 정부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풀브라이트 포스트닥 장학 프 로그램]의 선발 공고를 안내합니다. 한미 양국은 정부 공동 재정지원을 통한 풀브라이트 (Fulbright)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양국 간 교육교류 활성화 및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있습니다. 풀브라이트 장학금은 79년 전통의 세계 최고 권위의 국비 장학생 선발 프로그램이며, 한미교육위원단 (Korean-American Educational Commission)은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비영리 교육기관입니다. 올해 선발하는 [풀브라이트 포스트닥 장학 프로그램]의 선발 공고를 다음과 같이 안내하니 관심있는 지원자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