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국제정치이론 정리 - 8. 신제도주의 Neoliberal Institutionalism

갓생원 2025. 4. 1. 09:10

국제정치에서 국가 간 협력은 어떻게 가능한가? 고전적 제도주의는 국제기구와 규범이 그러한 협력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현실주의자들은 이러한 낙관론을 비현실적이라며 비판했고, 냉전 시기 미소 대립의 현실은 이들에게 힘을 실어주었다.

그렇다면 제도주의는 사라졌을까? 그렇지 않다. 신제도주의(Neoliberal Institutionalism)는 현실주의의 냉정한 분석을 수용하면서도, 여전히 국제제도의 협력 가능성에 주목하는 방식으로 진화하였다. 신제도주의는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의 중간 지점에 서 있으며, 고전적 제도주의가 제시한 이상주의적 접근을 보다 현실적이고 이론적으로 정교화한 형태이다.

 


1. 신제도주의의 등장 배경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 미국을 중심으로 국제질서가 복잡하게 재편되던 시기였다. 현실주의는 무정부 상태와 국가 간 갈등에 초점을 맞췄지만, 실제로는 국제무역, 환경, 금융 등 여러 분야에서 국제기구의 역할이 커지고 있었다. 이 현실을 설명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신제도주의이다.

신제도주의는 국제 제도(institution)가 국가 간 협력의 가능성과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그것은 단순한 이상주의적 믿음에 근거하지 않는다. 오히려 국가를 합리적 행위자(rational actor)로 보고,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국가들이 ‘제도’를 활용해 정보의 비대칭을 줄이고, 거래 비용을 낮추고, 규칙에 기반한 안정적 협력을 만들어낸다는 구조적 설명을 제시한다.

국제기구는 단순한 대화의 장소가 아니라, 협력을 제도화하고 예측 가능성을 높이며, 신뢰를 축적하게 해주는 장치로 기능한다.

 

2. 신제도주의의 주요 전제

신제도주의는 다음과 같은 전제 위에 서 있다.

  • 국가는 여전히 가장 중요한 합리적 행위자이다.
  • 국제사회는 무정부 상태이지만, 협력은 가능하다.
  • 협력은 제도의 설계를 통해 제약과 유인을 조정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 제도는 국가 간 상호작용의 반복, 투명성 제공, 거래 비용 감소, 규칙 설정 등을 통해 협력의 안정성을 높인다.
  • 절대적 이익(absolute gains)의 증대에 초점을 맞춘다. (현실주의는 상대적 이익에 집착함)

3. 대표 학자: 로버트 오언 코헤인(Robert Owen Keohane)

신제도주의의 대표 학자는 로버트 코헤인(Robert O. Keohane)이다. 그는 1984년 출간한 저서 『헤게모니 이후(After Hegemony)』를 통해, 패권국가 없이도 국제협력이 가능하며, 이를 가능케 하는 핵심 메커니즘이 바로 제도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현실주의적 논리의 비관론을 넘어서려는 시도였다.

코헤인은 현실주의자들과 일정 부분 문제의식을 공유하되, 국제기구나 제도가 국가의 이기적 행동을 조율하고 예측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제도주의를 자유주의 전통 속에서 이론적으로 정립한 인물이다. 그는 국제체제 내 협력을 ‘반복 게임’과 ‘정보 불완전성’의 문제로 접근했고, 거래비용 이론과 게임이론을 통해 국제정치를 설명하려 했다.

 

4. 신제도주의의 대표적 성과

  •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WTO(세계무역기구): 국제무역 협정 체계를 통해 반복 협상과 분쟁 해결을 가능하게 함.
  • 환경 협약(몬트리올 의정서, 기후변화 협약 등): 공동 이익에 기반한 다자 협력이 제도의 설계를 통해 이루어짐.
  • 국제기구의 감시 역할: IMF, IAEA 등은 회원국의 정책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고 이행을 촉진시킴.

5. 제도주의의 진화

신제도주의는 이후 다양한 분화와 확장을 거친다. 예를 들어 ‘환경 협력’, ‘무역 협정’, ‘안보 레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도의 역할이 분석되며, 특히 레짐이론(Regime Theory)이라는 형태로 국제정치학 내 제도 분석을 심화시켰다.

이후 1990년대에는 구성주의(Constructivism)가 등장하며 제도주의와의 새로운 비교와 경쟁 구도가 형성되었고, 국제제도의 규범적,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의도 함께 진전되었다

 

6. 비판과 한계

  • 권력의 비대칭 문제: 제도의 설계 자체가 강대국에 유리하게 설정될 수 있음.
  • 제도의 실효성: 제재가 약하거나 회원국 탈퇴 가능성으로 인해 제도가 무력화되기도 함.
  • 안보 이슈에 대한 적용 한계: 신제도주의는 경제와 환경 등의 분야에 강하지만, 군사안보 분야에서는 한계를 드러냄.

 

로버트 코헤인, 출처: 위키백과

6. (고전적)제도주의와 신제도주의 비교

구분 고전적 제도주의 신제도주의
등장 시기 제1차 세계대전~제2차 세계대전 직후 1970~1980년대
등장 배경 전쟁 방지와 평화를 위한 국제기구 설립의 필요성 대두 현실주의의 강세에 대한 이론적 대응
기반 이론 이상주의적 자유주의 (이성과 진보에 대한 낙관) 자유주의 + 현실주의 요소 수용
(보다 전략적이고 실용적인 접근)
주요 관심 제도 자체의 도덕적/규범적 기능 제도가 어떻게 국가 간 협력을 유도하는가
(정보 제공, 거래비용 감소, 규칙 설정 등 실용적 기능)
국가관 협력 가능한 존재,
도덕성과 규범에 기반한 합리적 이익 추구자
전략적 이해득실에 기반한 합리적 이익 추구자
(rational actors), 자국 이익 극대화가 목적
제도 역할 도덕적 설득, 규범의 정착 협력의 수단 (정보 제공, 감시, 상호 기대 형성 등)
제도의 영향력 규범적이고 구조적 영향 계산적·전략적 선택에 따른 행동 유도
현실주의에 대한 입장 이상주의적 비판과 대립 현실주의 수용 → 반론 제기
(무정부 상태 인정하면서도 협력 가능성 제시)
대응 방식 힘보다는 도덕과 제도의 가능성 강조 협력은 힘의 균형 속에서도 가능하다는 실증적 주장

 

  • 고전적 제도주의: "우리가 서로 협력하면 모두에게 이득이고, 인류는 그런 신뢰를 바탕으로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다."
  • 신제도주의: "우리는 이익을 따지고 움직이는 존재지만, 제도 덕분에 협력이 ‘우리 모두에게 유리한 전략’이 된다."